1. 빅데이터 분석과 전략 인사이트
-
빅데이터 열풍과 회의론
-
기존의 분석 프로젝트를 포장해 빅데이터 성공사례로 내놓음
-
-
싸이월드와 페이스북
-
싸이월드 - 직관에 근거해 의사결정
-
페이스북 - 데이터 분석에 기초해 전략적 통찰을얻고 효과적인 의사결정 -> 구체적인 성과
-
-
데이터의 양만 많은게 핵심이 아니다
-
데이터의 양이 아니라 유형의 다양성(음석,텍스트,이미지,비디오)이 핵심
-
-
전략적 통찰이 없는 분석의 함정
-
기업의 핵심 가치와 관련해 전략적 통찰력을 가져다 주는 데이터 분석을 내재화 하는 것이 어려움
-
-
일차적인 분석 vs 전략 도출 위한 가칠 기반 분석
-
인구통계학적 변화, 경제사회 트렌드, 고객 니즈의 변화 등을 고려, 다른 대변화 예측
-
일차적인 분석 애플리케이션 사례
-
금융서비스 : 신용점수 산정, 사기 탐지, 고객 수익성 분석
-
소매업 : 재고 보충, 수요예측
-
제조업 : 맞춤형 상품 개발, 신상품 개발
-
에너지 : 트레이딩 , 공급 , 수요예측
-
온라인 : 웹 매트릭스, 사이트 설계, 고객 추천
-
-
2. 전략 인사이트 도출을 위한 필요 역량
-
데이터 사이언스 의미와 역할
-
생성되는 숫자와 문자, 영상 정보 등 다양한 유형의 데이터를 대상
-
통계학과 다른 점은 데이터 사이언스는 총제적 접근법을 사용
-
전략적 통찰을 추구 , 비즈니스 핵심 이슈에 답, 사업의 성과를 견인
-
-
데이터 사이언스의 구성요소
-
Data Management(데이터 관리)
-
Analytics(데이터 분석)
-
비즈니스 분석
-
-
데이터 사이언티스트의 역량
-
강력한 호기심
-
소프트스킬
-
통찰력 있는 분석 (창의적 사고, 호기심, 논리적 비판)
-
설득력 있는 전달 (스토리텔링, Visualization(시각화))
-
협력 (Communication (소통))
-
-
하드스킬 - 이론적 지식, 분석 기술
-
-
Gartner(가트너)가 본 데이터 사이언티스트의 역량
-
데이터관리
-
분석모델링
-
비즈니스 분석
-
소프트스킬
-
-
전략적 통찰력과 인문학의 부활
-
단순 세계화 -> 복잡한 세계화로의 변화
-
비즈니스 중심이 제품생산 -> 서비스 로 이동
-
경제와 산업의 논리가 생산에서 시장 창조로 바뀜
-
-
데이터 사이언티스트에 요구되는 인문학적 사고의 특성과 역할
과거 |
현재 |
미래 |
|
infomation (정보) |
리포팅 |
경고 |
추출 |
insight (통찰력) |
모델링 |
권고 |
예측,최적화 |
-
데이터 분석 모델링에서 인문학적 통찰력의 적용 사례
-
인간을 바라보는 유형별 세 가지 관점
-
인간을 타고난 성향의 관점에서 바라보는 것
-
인간을 행동적 관점에서 바라보는 것
-
인간을 상황적 관점에서 바라보는 것
-
-
3. 빅데이터 그리고 데이터 사이언스의 미래
- 빅데이터 회의론을 넘어: 가치 패러다임의 변화
-
Digitalization -> Connection -> Agenct
-
'디지털화' - 아날로그세상에서 디지털화, 가치창출의 원천
-
'연결' - 새로운 시대에서 디지털화된 정보와 대상들은 서로 연결되기 시작 ( 사물인터넷 (IOT) )
-
'에이전시(agency)' - '복잡한 연결을 얼마나 효과적이고 믿을 만하게 관리해주는가'의 이슈
-
-
'ADSP > 1강) 데이터의 이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4,5] 빅데이터의 이해 , 가치와 영향 (0) | 2020.02.03 |
---|---|
[2,3] 데이터베이스 정의와 특징 & 활용 (0) | 2020.01.21 |
[1] 데이터와 정보 (0) | 2020.01.13 |